창업학 전공 교과목 목록
구분 | Module 1 | Module 2 | Module 3 | Module 4 |
---|---|---|---|---|
창업 단계 |
새로운 사업 기회 발견 | 사업 계획 수립 | 창업 경영 실무 | Scale-up과 Exit |
주요 교과목 |
|
|
|
|
MODULE 1 사업 기회의 포착
- 창업 기회론[3]
-
- 본 과목은 4차산업혁명 시대의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가 단순히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넘어서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로 진화했음을 분석하고 향후 진행될 창업 기회를 이해하고 이를 발견하는 안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 창업트렌드 분석[3]
-
- 본 과목은 IT, BT, AI, Big Data, Block Chain 등 기술의 발전과 Gig경제, 공유경제, 1인 기업 등 창업과 관련한 비즈니스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추세를 살펴보고, 트렌트 분석 툴을 사용하여 성공한 창업의 사례 등에 관하여 고찰한다.
- 창업아이템 개발론[3]
-
- 본 과목은 창업가가 수요 예측과 조사로 창업 기회를 발견하고 이에 따라 창업 아이템을 기획 및 설계하고 개발함에 있어 필요한 요인과 프로세스에 대해 창업아이템 개발 방법론을 통해 학습한다.
MODULE 2 사업 계획의 수립
- 비즈니스모델링[3]
-
- 본 과목은 4차산업혁명 시대의 과학 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가 단순히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넘어서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로 진화했음을 분석하고 향후 진행될 창업 기회를 이해하고 이를 발견하는 안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 창업마케팅[3]
-
- 본 과목은 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Paying Customer를 발굴하고 확보하기 위해 사업계획단계의 Customer Discovery에서 Retention을 위한 여러가지 마케팅 기법을 다루는 과목이다. 전반적인 마케팅의 역할과 다양한 마케팅 방법과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벤처 기업이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한다.
- 사업계획서 작성[3]
-
- 본 과목은 트렌드 분석을 통해 발견한 창업 기회를 활용하여 구상하고 이를 사업화 시키는 계획서를 작성해 보는 과목으로 학생들은 담당 교수와 외부 엑셀러레이터들의 조언을 받으면서 시장성, 현실가능성, 수익성 등의 항목에서 전문가들로부터 본인들의 사업계획을 검증받게 된다.
MODULE 3 창업 실무
- 비욘드 캡스톤[3]
-
- 본 과목은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지도교수와 함께 실제 벤처기업에서 일어나는 기술사업화 또는 창업에서 부딪힐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 해결책을 만들고 이것이 실행될 수 있도록 과목이다. 따라서, 문제 정의, 해결책 기획, 설계, 제시, 실행까지 벤처기업의 실무를 직접 경험해보는 대표적인 현장 중심적인 과목이다.
- 창업리더십[3]
-
- 벤처 기업만의 특징적인 리더십에 관해 학습하고 창업가가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의 확보, 개발, 보상, 유지와 관련된 제반 활동에 대한 지식과 실제 사례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 창업경영론[3]
-
- 본 과목은 창업가가 창업 과정과 벤처 기업을 경영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 상황들, 특히 자금 관리, 시장니즈 검증, 창업가의 멘탈 관리, 네트워크 관리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해 토론을 수행하면서 간접 경험을 하고 경영상의 문제 해결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DULE 4 Scale-up과 EXIT
- 벤처기업 Scale-up 전략[3]
-
- 본 과목은 벤처 기업들이 Scale-up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외부 투자 자금 조달과 관련한 다양한 전략과 방법을 주요 핵심 요인과 함께 사례를 통해 학습하는 과목이다.
- EXIT 및 M&A 전략[3]
-
- 본 과목은 벤처 기업의 성장에서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인 출구 및 회수 전략에 대해 다루는 과목으로 비상장 주식가치평가 및 M&A, IPO, 세무, 법률 등에 대해 사례를 통해 학습하는 과목이다.
- CVC 및 오픈 이노베이션[3]
-
- 본 과목은 급변하는 시장 상황속에서 관심이 높아진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인 CVC의 활성화를 위해 이들이 주로 수행하고 있는 국내 기업 주도의 CVC의 투자유형과 특성을 사례를 통해 파악함으로써, 한국형 CVC 생태계의 미래와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는 과목이다.